[1] 사고의 영향을 완화하거나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의한 시스템을 말한다. 예를 들면, 압력 릴리프 밸브 같은 시스템이다.
[2] 공정과 관련한 각종 상해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 위험 사항을 파악하고 이해하며 이를 통제하는데 있어 관리 원칙과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다. 사업장 내의 모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과학적인 방법을 총동원하여 주요 위험설비 내에 잠재되어 있는 위험성을 찾아내어 이 위험성을 제거하거나 사고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하고 경제적인 대안을 강구하여 시행하는 제도로서 기본적으로 모든 기술 사항이나 업무 처리 절차는 문서화하되 현장과 일치되어야 하며, 이렇게 문서화된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철저히 시행하여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 안전 관리제도는 지금까지의 안전관리 차원에서가 아니라 사업장의 경영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공정 안전 관리제도의 주요 구성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1. 제조공정 관련 기술자료 및 도면의 체계화
2. 체계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정위험성 평가를 통한 필요한 조치 강구 및 시행
3. 안전운전절차·하도급 관리기준의 설정 및 시행을 통한 작업실수의 최소화 강구
4. 설비의 완벽한 성능유지를 위한 설계·제작·운전 및 정비기준의 제도화 실행
5. 사고 발생공정안전관리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상조치 계획 수립 및 실천
6. 기타 각종 절차·기준 준수를 위한 전 종업원의 교육·훈련
7. 정기적인 자체 감사실시를 통한 공정안전관리의 시행 확인 및 개선 등이다.
위험 물질을 제조, 저장, 처리 또는 사용하는 시설에서 일시적인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이러한 공정 안전관리 원칙들을 적용하는 데 공정안전관리제도의 내용 중 중요한 몇 가지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공정 안전 자료 공정 안전 자료에는 사업장에서 저장·취급하고 있는 유해·위험물질의 물질 안전 보건 자료(MSDS), 유해·위험설비 목록, 공정 흐름도(PFD), 배관계장도(P&ID) 등 사업장 내의 모든 정보를 말하며 공정 안전 관리 제도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2. 위험성 평가 공정 안전 관리에서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위험성 평가이며, 이것은 공정 안전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사업장내의 설비나 절차에 잠재된 제반 위험성을 찾아내어 대책을 수립·시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시한다.
① 위험이 어떤 곳(공정·설비)에 있는가?
② 위험이 있다면 사고 발생 가능성은 있는가?
③ 사고가 발생하면 피해는 얼마나(어떻게) 되는가?
④ 이 위험의 제거나 발생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⑤ 사고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답을 얻기란 그리 쉽지 않으므로 각 공정의 복잡성·특수성, 사업의 시기 및 위험성 평가 기법의 특성 등을 감안한 적합한 위험성 평가 기법을 선택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3. 위험설비의 품질과 안전성 확보 다음과 같은 설비나 계기류 등의 결함이나 고장은 많은 경우 중대 산업사고로 이어져 왔기 때문에 이러한 설비들이 항상 설계자가 의도한 대로의 성능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① 압력용기와 저장탱크 설비
② 배관계통설비
③ 압력방출계통설비
④ 비상정지계통설비
⑤ 계측제어설비 등 위와 같은 각각의 위험설비들은 공정안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완벽한 기계적 성능(mechanical integrity) 확보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들 설비는 엄격한 안전기준(설계·설치·운전·보수 등)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
4. 안전운전, 안전작업허가 등 유해·위험설비 등의 안전운전을 위한 안전운전 지침서, 공정지역 등에서의 화기 작업시의 안전작업 허가, 하도급업체의 안전관리계획 및 근로자의 교육계획 등이 이에 속한다.
5. 비상시 조치계획
위험성 평가를 철저히 시행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했다 하더라도, 예상치 않은 상황과 원인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위험물을 취급하는 공정에서의 사고는 화재·폭발 또는 위험물질의 누출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상조치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사업장에서는 사업장 특성에 맞는 비상조치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자율적으로 정기적인 훈련을 실시하여야 하고, 이 계획을 실행할 수 있는 조직과 인력 및 장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상조치계획에는 사고 발생시를 대비한 장비확보, 인력의 효율적 운영, 비상 연락체제, 비상 조치계획에 대한 교육훈련 및 주민 홍보계획 등이 포함된다.